과목명 학점 이수구분(강의방법) 과목개요
RNA생물학RNA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RNA생물학RNA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생명현상에 필수적인 복잡한 RNA metabolism을 이해하고 다양한 종류의 RNA분자에 대한 기능과 조절기작에 대해 이해
감염병리학Pathogenesis of Infectious Disease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감염병리학Pathogenesis of Infectious Diseases

강의개요

강의목표

  • 학부과정에서 선행되어 습득된 미생물학, 바이러스학 지식을 기반으로 병원성 세균/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병에 대한 숙주세포면역 반응을 포함한 분자병리기전에 대한 최신문헌강의와 토론을 통한 이해습득과 관련분야 연구능력을 함양하는데 강의목표를 두고자함.
고급분자생물학Advanced Molecular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고급분자생물학Advanced Molecular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분자생물학은 핵산과 단백질이 세포의 성장, 분열 및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조절되고 관여하는 지를 다루는 학문임. 본 고급분자생물학 과정에서는 유전체의 정보를 정확하게 복제, 교정 및 해석하는 일련의 분자 조절 기전을 이해하고, 분자 생물학적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기법 등을 수학하기 위해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강의함 (참여교수진에 의해 분자생물학의 최근 연구 동향 및 전공 분야에 따라 학기별 세부 강의 주제가 제시될 것임)
고급세포생물학Advanced Cell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고급세포생물학Advanced Cell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 전 과정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분자생물학적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진보된 최신 지식을 습득하고자 함.
구조생물학Structural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구조생물학Structural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구조규명을 통해 생물학분야에 중요한 진보를 이룬 여러 토픽들을 다루게 됨. 토픽들은 탈인산화효소, 핵 수용체, 숙주: 미생물 상호작용, 세포사멸단백질, 금속결합 단백질 등이 포함됨. 구조생물학 전공 학생은 물론 타 생물학 전공 학생들에게 관련 생물학 내용 및 구조연구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강의코스에서 학생들은 관련된 최신 및 classic 논문을 숙독하고 발표하는 시간이 포함됨
노화생물학Aging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노화생물학Aging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노화는 생물체가 노화 과정에서 생물학적 기능을 잃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과 정은 생물체의 세포나 조직에서 일어납니다. 노화생물학 교과목은 노화와 연관된 생물학적 기능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예방하거나 늦추는 것이 가능한지를 연구하 는 바탕이 됩니다. 주요 주제로는 세포 및 개체의 노화를 야기하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 인, 생화학적 요인 등을 공부하며, 나아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노인성 질환(알츠하이머, 파 킨슨, 당뇨병, 심혈관 질환, 근골격계 퇴행 등)에 대해 공부합니다. 노화생물학은 생물학의 중요한 분야로, 인간의 건강과 질병 예방 및 치료에 대한 많은 통찰 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최근 연구는 노화를 지연하거나 되돌리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화와 관련된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대 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중오믹스분석Multi-Omics Bioinformat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다중오믹스분석Multi-Omics Bioinformat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네트워크 분석 등 오믹스 정보분석을 위한 다양한 분석방법에 대하여 공부하고 이해한다.
단백질 디자인Protein Design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단백질 디자인Protein Design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인공 단백질 제작을 위한 이론과 실습의 전반적인 이해력을 높이며, 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단백질 3차원 구조 분석/ 로제타 기반 단백질 코딩/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설계/ Python 기반 단백질 분석
단백질 엔지니어링Protein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단백질 엔지니어링Protein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생명체가 수행하는 각종 생명현상은 단백질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생명현상을 분자적 수준에서 설명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에 대한 기능적, 구조적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과목에서는 단백질의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의 이해를 통해 생명공학적 응용 및 적용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단백체학개론Introduction of Proteom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단백체학개론Introduction of Proteom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단백체학의 개념과, 원리, 방법, 그리고 응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리뷰 및 토론함
단분자 분석 기술Single-molecule-based Analysis Techn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단분자 분석 기술Single-molecule-based Analysis Techn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 및 감염성 질환의 조기, 정밀, 고감도 진단과 치료를 위해 질환 타겟 단백질 및 핵산의 구조와 특성 분석이 중요합니다. 본 교과목에서는 단분자 기반 분석 기술의 종류와 나노포어 센싱기술을 활용한 질환 타겟 단분자 분석의 기초 원리를 학습합니다. 또한 질환 타겟별 단분자 기반 기술의 활용 방법 및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다룹니다.
면역학Immun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면역학Immun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면역학은 생물체의 면역체계를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면역학에 대한 일반적인 총론을 숙지하고 면역체계와 면역작용에 대한 원리와 면역 과정 자체를 통제하는 과정을 이해함
바이러스 및 백신학Virus and Vaccine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바이러스 및 백신학Virus and Vaccine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바이러스 일반적인 소개와 바이러스 백신을 만드는 방법 및 응용법을 리뷰함
바이오 빅데이터Bio Big-Data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바이오 빅데이터Bio Big-Data

강의개요

강의목표

  • 개인유전체, 희귀질환, 암유전체에서 생산된 Whole-Exome/Genome Sequencing 데이터의 정보분석 및 데이터의 해석 방법을 실습을 병행하며, 이론중심으로 최신동향을 포함하여 초중급 수준에서 강의함. 기말고사는 오픈북으로 각 단원별로 추출된 50여개 문항에 대한 답을 작성하여 제출하며, 매 강의 시간에는 강의요약자료를 LMS에 업로드함(출석확인).
바이오 프로그래밍 기초Basic Bio-Programm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바이오 프로그래밍 기초Basic Bio-Programm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바이오 프로그래밍 과정은 다양한 OMICS 데이터의 분석 및 결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기본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을 다룬 후, 프로그래밍을 실습을 통해 OMICS 데이터 분석 파이프라인 구축 및 분석을 통해 생명정보학의 이해를 돕는다.
바이오연구기술의 최신토픽Current Reviews on Biological Science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바이오연구기술의 최신토픽Current Reviews on Biological Science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최신 생명과학 연구기술을 소개한다. 매 강좌에 중심 주제는 새롭게 갱신될 예정임. 강의와 학생들의 주제 발표로 진행된다. 석, 박사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어 강의임. 격년으로 1학기에 개설 됨.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염기서열분석, 유전자 발현분석, 유전자 변이 분석, 분자계통분석 등 생명정보학 제반 분야의 기초 이론에 관한 내용을 강의함
생물정보학 알고리즘 개론Bioinformatics Algorithm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생물정보학 알고리즘 개론Bioinformatics Algorithm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생물정보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핵심 알고리즘들을 설명하고 pseudocode 등을 공부하면서 기본 개념을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둔 강의. Bioinformatics Algorithms: An Active Learning Approach 3rd ed (2018), Phillip Comlpeau & Pavel Pevzner가 저술한 교재를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할 계획임. 교재는 총 1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Motif finding, Genome Assembly, Peptide identification, Sequence Alignment, Genome Rearrangement Reconstruction, Phylogeny Construction, Clustering, Mapping algorithms, Hidden Markov Models, Protein Sequencing 등의 내용을 포함함.
생물통계학Biostatist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생물통계학Biostatist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바이오 데이터 및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일반적인 통계학 기법과 Excel 및 R-project를 이용하여 실험 데이터의 정리, 요약, 분석법을 강의함
생물학방법론Methods in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생물학방법론Methods in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Methods in Biology" 영문 강의는 대학원 교육 수준에서 현대 생물학의 철학적 실용적 측면을 배울 “블렌디드” 학습기회를 제공함. 온라인 강의는 UST/LMS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며 오프라인 강의는 매학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선정한 연구 주제 관련 실용적 방법론 및 실험적 프로토콜을 다룰 예정임.
생화학Biochemist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생화학Biochemist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생화학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생물학적/화학적 과정을 교육하고자 함
세포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 & Human Disease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세포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 & Human Disease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생리적, 병리적 환경에서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생체신호전달계에 대한 현상을 학습함. 이 교과목에서는 질환별 핵심인자 및 신호전달, 수용체, 막에서의 신호변환 기전, 활성산소, 세포외 기질, 면역 물질과 신호전달, 유전자 발현 조절, 세포별 신호전달, 질환별 신호전달 등을 학습함. 본 과목 이수를 통해 인체에서 일어나는 신호전달과 생명현상의 이해 및 응용 연구에 도움이 될 것임
세포학 실험Experiments in Cell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세포학 실험Experiments in Cell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세포생물학에 필요한 다양한 동물모델을 비롯한 다양한 실험기법의 원리 이해 및 습득
식물 기능 유전체학Functional Genomics in Plant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식물 기능 유전체학Functional Genomics in Plant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 도입 이후, 약 2,072개의 식물 유전체가 해독되어 공개되 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멀티 오믹스 분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과목에서는 식 물/작물의 형질 연관 유전자 기능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1) 표준 유전체 구축, 2) 유전체 재 분석, 3) 전사체, 4) 후성 유전체 및 5) 단백체 분석 연구를 데이터 생산을 위한 식물체 준비 부터 데이터의 분석 및 해석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학습 및 실제 논문을 활용한 사례 학습을 통해 식물 유전체 기반의 연구 수행이 가능한 연구자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고자 합니다."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신경 해부, 신경 생리학을 포함한 신경계의 구조 및 기능 소개. 주제는 신경세포의 속성, 기작과조직 특성 등에 관한 것으로, 신경생물학, 신경 병리학, 퇴행성 신경계 질환 등에 대한 강의가 진행됨
실험동물 및 영장류학Experimental Animal and Primat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실험동물 및 영장류학Experimental Animal and Primat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실험동물 및 영장류학은 현대의 의료 중심의 생명과학분야를 이해하기 위한 전문 과목으로써, 인간과 진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영장류를 이해하기 위해 분류학, 생태학, 해부학, 생리학, 실험동물학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는 학문임. 이러한 학문분야를 통해 영장류와 실험동물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우리 인류를 이해할 수 있음
암생물학Cancer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암생물학Cancer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암의 분자 및 세포 기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암의 성장과 전이 과정에 대한 생물학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암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기 위함으로 개설되었으며, 강의 내용은 암의 발생원인, 암유전자 및 암억제유전자, 암 특이 신호전달체계, 암 발생, 종양미세환경과의 상호작용 및 전이 등을 포함함
암세포대사Cancer Metabolism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암세포대사Cancer Metabolism

강의개요

강의목표

  • 암세포 대사 및 대사산물, 암미세환경, 암진단 및 후성유전학적 조절 등의 분자세포생물학적 측면을 광범위하게 다룸으로써 암세포 대사 및 이의 암생물학적 역할에 대해 폭넓은 지식과 이해력을 습득하고자 함.
유기화학Organic Chemist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유기화학Organic Chemist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유기화합물의 구조 이해, 1) 기본적 유기 반응과 메카니즘 및 2) 화합물 합성법과 구조 분석법에 대한 학습
유전체편집기술Genome Editing Techn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유전체편집기술Genome Editing Techn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제1세대 징크핑거뉴클라아제와 제2세대 TALEN, 제3세대 CRISPR/Cas9기술의 개념과 적용사례를 통해 유전체를 편집하고 이를 질병치료와 유전자발현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유전체학 Genom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유전체학 Genom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유전학 및 유전체학 분야의 최신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함
의생명정보학Biomedical Informat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의생명정보학Biomedical Informat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현대정밀의학 패러다임에 맞춘 실용적인 유전체 분석 테크닉 습득을 목표로, 1) 실험연구자를 위한 간단한 데이터 처리 기법, 2) 암을 포함한 질병 관련 유전체 데이터 수집 방법, 3) 유전체와 임상정보의 통합 분석 기법, 4) 예후 예측 또는 치료제 감수성/저항성 인자 발굴 기법 등의 다양한 생물정보학적 분석 기법을 체험함
인체 생리학Human Phys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인체 생리학Human Phys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인체 생리학은 생물체의 기관 (장기) 혹은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리학”은 생물학의 한분야이며, “인체 생리학”은 의학의 한 분야이기도 하다. 본 교과에서는 우리 인체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세포수준의 생리현상부터 인체 각 기관의 구조 및 기능의 원리에 이르기까지 인체 생리 전반에 걸친 통합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는 세포생리, 신경생리, 근육생리, 내분비생리, 호흡생리, 순환생리, 감각생리 등을 기반으로, 각 기관계의 “병태생리” 및 “의학생리”를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지질생화학Lipid Biochemeist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지질생화학Lipid Biochemeist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학부과정에서 선행학습된 생화학, 세포 생물학 등의 지식을 기반으로, 체내 지질의 운명을 분석하고, 지질이중막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학습함. 최신 문헌 강의와 토론을 통하여 관련분야 연구능력을 함양함.
화학생물학Chemical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화학생물학Chemical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약리 활성 물질의 표적 및 기전을 유전체 수준에서 규명하는 연구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이며, 강의와 최근 문헌을 중심으로 토론 형식으로 진행함
후성유전체학Epigenetics & Epigenom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후성유전체학Epigenetics & Epigenom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후성유전체학은 DNA 염기서열과는 상관없이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 조절, 그로인한 세포의 기능 및 형태의 변화를 유전체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한 학문으로 DNA methylation, histone modification 등이 포함됨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교무팀 담당자 : 윤소정 연락처 :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