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학점
이수구분(강의방법)
과목개요
극지 우주과학 개론Introduction to Polar Space Science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극지 우주과학 개론Introduction to Polar Space Science
강의개요
강의목표
- 극지 고층대기는 약 60~1000 km 고도의 지구 대기 영역으로 태양, 태양풍, 자기권 등을 포함하는 근지구 우주환경의 일부로서 오로라와 더불어 다양한 우주기상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극지 우주환경은 기후환경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강의에서는 극지 고층대기뿐만 아니라 태양, 태양풍, 자기권 등 근지구 우주환경을 소개하고 오로라 등 극지 고층대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을 소개한다. 그리고 우주 생물학 연구를 소개한다.
극지원격탐사 개론Polar Remote Sensing Introduction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극지원격탐사 개론Polar Remote Sensing Introduction
강의개요
강의목표
- 극지의 환경과 지형적 특성을 이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격탐사 기술의 기초 개념과 원리를 소개함. 학생들은 원격탐사의 기본 원리, 위성 데이터의 획득 및 분석 방법, 그리고 극지방의 지리적 특성과 관련된 주요 과학적 이슈들을 학습하게 됨. 이 과정은 다양한 원격탐사 플랫폼(위성, 무인기 등)과 센서(레이더, 광학, 적외선 등)를 다루며, 극지방 연구에 적용되는 실제 사례들을 학습하게 됨.
극지해양생물학개론Polar Marine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극지해양생물학개론Polar Marine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정은 극지역의 바다에 사는 생물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일반적인 해양에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 분포, 환경에 대한 적응을 연구하는 분야인 해양생물학에서 더 나아가 극지역의 해양환경에 오랜 시간 적응하며 살아온 생물의 종류와 다양성, 적응과 진화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본 과정을 통해 극지 해양생물의 특징, 적응기작 및 대사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해양-대기상호작용Ocean-Atmosphere Interaction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해양-대기상호작용Ocean-Atmosphere Interactions
강의개요
강의목표
- 해양은 전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며, 대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후조절물질들의 가장 중요한 source 및 sink로 작용한다. 본 강의에서는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통한 기후가스 및 입자성 물질의 교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관련 연구 분야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강의는 다음의 주제를 다룬다. 1)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통한 미량 기체 교환, 2) 해양미세층의 물질교환 메커니즘, 3)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통한 온실가스 교환, 4)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통한 입자 교환, 5) 최신 연구 동향.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교무팀
담당자 : 윤소정
연락처 :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