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학점 이수구분(강의방법) 과목개요
광물광상학 특론Mineralogy and Resource Ge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광물광상학 특론Mineralogy and Resource Ge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 강좌는 광물자원의 기초 이론과 응용을 습득하기 위한 과정으로 광물학, 광상학, 광물처리 이론을 포함한다. 광물학은 광물의 분류, 광물 분석 방법을 주로 다룸으로써 광물 동정에 초점을 맞추고, 광상학은 광상유형별 지구조적, 지질학적 및 지구화학적 형성환경에 대해 습득함으로써 광상 성인의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광물처리 이론은 광물의 산업 활용 및 광물처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분야를 다룬다.
기후변화와 지구환경 Climate Change and Earth Environment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기후변화와 지구환경 Climate Change and Earth Environment

강의개요

강의목표

  • 최근 들어 인간활동에 의한 온실기체 증가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기후 변화가 두드러지게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자연 환경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홍수와 가뭄, 생태계 변화 등은 인간 활동 영역이 확대되고 산업시설들이 증가함에 따라 과거에 비해 더 큰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의 환경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 강좌에서는 고기후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지구환경 변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지질과학적 측면에서 이러한 문제에 잘 대응하고 피해를 저감할수 있는 기본 역량을 배양하고자 한다.
응용 지하수학 특론Advanced Applied Hydroge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응용 지하수학 특론Advanced Applied Hydroge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하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지하수와 관련된 이슈에 대응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개설된 과목으로 지하수 분포 및 유동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지하수 자원의 탐사와 평가, 주요 대수층의 수리지질 특성, 지하수 수질 및 오염 특성과 현황, 오염물질 거동, 오염 관리 및 정화 등을 학습한다. 또한, 수문 및 기후 특성에 따른 물의 이동과 강수, 지표수, 지하수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지하수를 중심으로 대기 및 기상요소가 수문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지하수와 관련된 수문기상학적 해석 능력을 키우고, 지하수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내 지하수 관리 현황과 개선 방안 등도 습득하여 지하수의 실질적 활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제4기 지질학 특론Advanced Quaternary Ge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제4기 지질학 특론Advanced Quaternary Ge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제4기 지질학의 기본적인 개념 및 이론을 이해하고 다양한 프록시 기반의 연구 기법을 습득한다. 제4기의 퇴적환경 및 시층서 연구, 제4기의 미고생물 분포 및 고생태 연구, 제4기의 고기후 및 고환경 추적 연구 현황 및 데이터 해석에 대한 기초 및 특화된 이론 중심의 강의를 진행한다. 제4기 지질학 연구를 위한 분석 장비들의 기본 개념 및 장비 운영 방식 등을 학습한다.
지구물질 분석과학 Analytical Science for Earth Material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지구물질 분석과학 Analytical Science for Earth Material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구물질 분석과학은 지구를 이루는 물질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구물질의 진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여러 분석 장비들이 활용되는데 이러한 장비들의 분석 기법을 소개하고 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강좌는 특히 지구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의 다양한 지구 환경적 해석 과정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한다.
지구시스템과 지질재해Earth System and Geologic Hazard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지구시스템과 지질재해Earth System and Geologic Hazard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질재해는 지구의 자연적 현상 또는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질학적 변화로 인해 인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지질재해로 지진, 화산, 산사태 등이 있으며, 지질학적 위험 요소와 대비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편 지구는 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지구시스템의 각 권역들은 끊임없이 상호 작용해서 어느 한 권역에서의 변화가 다른 권역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미세먼지-토양-지하수 등 지구시스템 관련 지질재해에 관한 이해도 요구된다. 이 강좌에서는 중대형 지진재해의 발생 메커니즘과 지구시스템과 연계한 지질재해의 발생 특성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지질과학적 측면에서 지질재해를 잘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기본 역량을 배양하고자 한다.
지진지질학 특론 Earthquake Ge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지진지질학 특론 Earthquake Ge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진학의 기본 원리, 지진파와 지진원 이론, 활성지구조운동, 활성단층 지진거동에 대해 학습한다. 계기지진, 역사지진, 선사지진 기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진활동과 단층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현재 작동하고 있는 지구조 운동에 의한 지각변형에 대해 이해하고 연구한다.
지질과학 특론Advanced Geological Science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지질과학 특론Advanced Geological Science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구를 구성하는 물질과 이를 둘러싼 대기권-수권-생물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이를 위해 과거로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지구시스템 변화를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구과학적 도구들에 대하여 배우고, 실습을 통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질데이터 과학Geodata Science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지질데이터 과학Geodata Science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좌는 지질학 및 지구환경과 관련한 지구과학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과학의 활용에 대한 개요 및 이해를 제공한다. 본 강좌의 목적은 지질과학 관련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기본 개념 및 기초적 이론을 제공하고 데이터 과학을 활용하여 실제 지질 및 지구과학 자료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있다. 본 강좌는 다변량 통계분석, 공간정보 분석, 지구통계 및 불확실성 분석 등 지구과학 데이터의 시공간적 공통 특성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지하수학 특론Advanced Hydroge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지하수학 특론Advanced Hydroge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하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개설된 과목으로, 지하수의 생성, 순환, 이동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 및 지하수 유동 방정식, 지하수질, 지하수내 오염물 이동 및 확산 과정, 지하수 부존 및 자원평가 등 기초이론을 습득하기 위한 강좌이다.
지하환경 미생물학 특론Subsurface Micro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지하환경 미생물학 특론Subsurface Micro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하수 및 퇴적토와 같은 지하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종류 및 구조, 기능, 생장 등에 대한 일반적인 미생물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지하 환경 내 미생물과 오염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강의를 포함한다. 지하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세균)의 생지화학적 프로세스의 중요성을 알고, 지속가능한 지하수 및 지하 환경 자원의 이용과 보전을 위한 미생물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층서퇴적학 특론Advanced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층서퇴적학 특론Advanced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육상의 퇴적암부터 연안의 퇴적물, 해저의 퇴적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에 보존되어 있는 퇴적 기록은 서로 다른 시간 범위에 해당하는 지표 부근의 지구 역사를 담고 있다. 3부로 구성되는 본 강의에서는 각 환경에서 사용되는 주요 연구 방법과 주제, 배경 이론들을 소개하고 실제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토의한다.
환경점토광물학Environmental Clay Minera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환경점토광물학Environmental Clay Minera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점토광물은 물을 함유하고 있는 미립질의 판상규산염 광물로 지구의 생물권, 수권, 암석권, 대기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지질물질이다. 본 과목은 점토광물의 구조, 분류, 생성환경, 물리화학적 특성 및 분석법에 관한 개론을 강의한다.
환경지구화학 특론Environmental Geochemist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환경지구화학 특론Environmental Geochemist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하수, 토양, 퇴적물, 암석을 중심으로 지하 및 지표환경에서 물질과 원소들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과 변화 기작을 규명하고 이러한 원리를 수자원 및 토양 환경특성 평가, 환경 오염 및 자원 탐사에 대한 활용에 대한 대한 강의를 포함한다. 이 강좌에서는 지구화학적, 생지구화학적, 동위원소적 기법을 활용하여 여러 환경매체에서의 물질과 원소들의 분포를 지배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지구환경에서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교무팀 담당자 : 윤소정 연락처 :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