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학점
이수구분(강의방법)
과목개요
고분자전해질막 특론Advanced Polymer Electroyte Membrane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고분자전해질막 특론Advanced Polymer Electroyte Membrane
강의개요
강의목표
- 고분자 전해질막 특론은 다양한 전기화학 시스템의 핵심 소재인 고분자 전해질막을 이해하기 위해 고분자의 합성법 및 물리적 특성을 소개한다. 고분자 합성법의 종류 및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합성 고분자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고분자 전해질막의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토론하고자 한다.
고체산화물전지 특론Advanced Solid Oxide Cell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고체산화물전지 특론Advanced Solid Oxide Cell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좌는 고체산화물전지(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의 작동원리, 특징, 소재,공정에 대해 소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연료전지, 수전해 분야 전기화학 이론을 설명하고, 고체산화물전지의 작동원리 및 특징을 설명한다. 그 후 고체산화물전지의 소재 및 공정을 소개하여 학생들의 고체산화물전지 분야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광전기화학 태양전지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광전기화학 태양전지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s
강의개요
강의목표
- 광전기화학형 태양전지의 기본 구조, 구성하는 소재, 작동원리를 이해한다. 특히 전기화학의 기본이 되는 전해질에 대한 제조방법과 특성분석을 이해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재 KIER에서 연구하고 있는 광전기화학형 태양전지의 연구 분야 및 주요 연구 주제들을 소개한다. 또한 태양광의 특성, 유기기반 태양전지소재, Bulk Hetero Junction의 원리를 통해 태양전지의 작동원리를 이해한다. 이러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스마트 윈도우와의 융합소자 구조, 소자적인 특성 및 제조 공정을 이해하고 현재 동 분야에서 고성능화 및 안정성 향상을 이루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주제들을 소개한다.
기체흡착/분리소재Gas Adsorption/Separation Material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기체흡착/분리소재Gas Adsorption/Separation Materials
강의개요
강의목표
- 기체흡착/분리공정은 흡착 및 분리 소재를 이용하여 기체 혼합물로부터 특정 기체를 분리하거나 혹은 제거시키는 공정이다. 흡착은 기체 성분이 고체 또는 액체 표면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현상으로써, 흡착된 기체는 압력 및 열 등에 의해 탈착된 후 재생될 수 있으며, 소재로는 주로 활성탄,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성 입자가 이용된다. 분리막은 기체분자들의 막 투과속도 차를 이용해 특정 분자를 분리하는 소재이며, 주로 고분자 및 세라믹 등이 이용된다. 본 교과목에서는 기체 혼합물에서 특정 기체를 분리하는 흡착 및 분리 공정에 관한 기본적 원리와 최신 소재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다상 흐름 반응 시스템Multi-phase Reaction System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다상 흐름 반응 시스템Multi-phase Reaction System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일반적인 화학공학 및 생물공학에서의 반응시스템은 한 개 이상의 흐름을 가지므로 이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얻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다상흐름 반응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체-고체 시스템 혹은 기체-액체 시스템과 같이 2개 이상의 흐름 시스템 혹은 기체-액체-고체 3개의 흐름을 갖는 계에서의 반응을 다루며 구체적으로는,“Fluidization & Flow regime”(서론 및 흐름 영역), “Bubbling fluidized bed”(기포 유동층), “High velocity fluidzation”(난류, 고속 유동층), “Circulating fluidized bed”(순환 유동층),“각종 시스템에서의 다상 흐름 반응기 응용 사례”등에 대해서 다루게 된다. 이를 통하여 다상 흐름 반응 시스템 이론을 이해하고, 현장에서의 적용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미세먼지저감 특론Advanced Fine Dust Reduction Techn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미세먼지저감 특론Advanced Fine Dust Reduction Techn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미세먼지는 주로 산업시설, 자동차, 난방 및 에너지 사용 등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1차 배출되기도 하고, 황산염, 질산염과 같이 대기 중 반응에 의해 2차 생성되기도 한다. 미세먼지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깨끗한 대기질 확보를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미세먼지 저감기술이 필요하다.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방법으로는 저급연료를 고품위화시켜 미세먼지 발생 자체를 줄이는 발생저감 기술과, 이미 발생된 미세먼지를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집진하거나 미세먼지 전구체인 VOCs를 제거하는 배출저감 기술이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미세먼지 발생저감기술과 배출저감기술에 관한 기본적 원리와 개발 사례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에너지공학개론Introduction to Energy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에너지공학개론Introduction to Energy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에너지공학 개론은 우리 인류의 발달사와 함께 해온 에너지기술의 변천과정 소개와 함께 이를 학문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기초이론을 소개한다. 특히 에너지공학 전공을 구성하는 4개의 세부전공, 즉 수소에너지, 재생에너지, 청정에너지, 에너지시스템의 다양한 종류와 특성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계 및 평가가 모두 가능한 첨단 실무형 글로벌 에너지공학 분야의 전문기술 인력을 양성한다. 끝으로 최근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각국의 노력과 함께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탄소중립 방안들에 대해 토론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료전지 MEA 특론Advanced Fuel Cell MEA Techn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연료전지 MEA 특론Advanced Fuel Cell MEA Techn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연료전지의 전극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복잡다양한 물리화학적 현상들을 반응공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료전지의 성능을 분석, 평가 및 해석하는 기본 방법론을 공유하고자 한다. 또한 연료전지의 열화 이슈들을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세부적인 열화메커니즘 및 이에 대응하기 위한 대안 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산화탄소 포집, 전환 및 이용 기술Carbon Capture & Utilization Techn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이산화탄소 포집, 전환 및 이용 기술Carbon Capture & Utilization Techn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2050년 에너지분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무배출이 가능한 무탄소 연료전환이 필요하다. 발전 및 산업분야의 에너지원을 무탄소 연료로 전환하는 과정 중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물론, 산업공정의 원료사용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포집, 전환 및 이용기술을 통해 처리해야 한다. 이산화탄소 포집, 전환 및 이용 기술은 배출원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포집하고,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화학적, 전기화학적, 생물학적인 방법 등을 통해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거나, 직접 이용하는 기술이다. 본 과목에서는 CCU 기술의 전반적인 이해와 각 기술에 대하여 기초지식을 배우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정연료 전환기술 개론Clean Fuel Conversion Technologie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청정연료 전환기술 개론Clean Fuel Conversion Technologie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청정연료 전환기술은 화석연료 자원(석탄, 석유, 가스 등)을 화학적 전환하여 청정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이며, 불순물 제거와 크래킹 또는 수소첨가 반응 등을 통해 연료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최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다양한 탄소중립 연료 생산기술이 발전 중이며, 특히 CO2 배출 없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바이오 유래 항공유 및 디젤 생산 기술, 신재생에너지 기반 암모니아 및 E-Fuel 생산 기술, 그리고 온실가스 포집 기술 등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본 과목에서는 정유산업의 구조와 청정연료 생산을 위한 정유프로세스를 배우고, 더불어 저탄소 배출 청정 연료 생산 기술에 대한 개념 학습을 통해 미래의 청정연료 시장의 변화를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청정화력 발전기술Clean Thermal Power Generation Techn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청정화력 발전기술Clean Thermal Power Generation Techn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기존 석탄 및 LNG 화력발전소에서 바이오매스와 무탄소연료인 암모니아, 수소를 혼소/전소하는 연료전환과 이산화탄소 포집, 이용, 저장 기술(CCUS)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연소이론, 기존 미분탄/순환유동층 석탄 화력 및 LNG 발전 기술, 바이오매스 발전, 암모니아 혼소 발전과 CCUS 기술의 전반적인 이해와 지식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친환경에너지와 인공지능Green Energy and AI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친환경에너지와 인공지능Green Energy and AI
강의개요
강의목표
- 친환경에너지의 효율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의 기본 원리 및 작동 원리를 이해한다.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있어서 인공지능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인공지능 모델링을 실습한다. 이를 통해서 친환경에너지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링을 학습한다.
풍력·해양에너지공학Wind & Marine Energy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풍력·해양에너지공학Wind & Marine Energy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의는 풍력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작동 원리로부터 공학적 응용까지 이론적, 기술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본 과정은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공기역학과 같은 풍력터빈 기술로부터 시장전망에 대한 관점을 폭넓게 다룬다. 또한 본 강의는 조력발전, 파력발전, 염분차발전,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연료, 해수 수전해 등 해양 환경에서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재생에너지기술의 기초적 원리를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고, 대학원 수준의 기술 개발 현황과 미래 전망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교무팀
담당자 : 윤소정
연락처 :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