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학점 이수구분(강의방법) 과목개요
MEMS 공정기초 및 소자 응용의 이해Basics of MEMS Processes and Understanding Device Application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MEMS 공정기초 및 소자 응용의 이해Basics of MEMS Processes and Understanding Device Application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의는 마이크로 기전시스템(MEMS)의 제작을 위한 포토리소그래피 등 기초 공정기술의 이론과 소자화를 위한 패키징 공정 이론 및 이를 응용한 소자 개발의 이해를 다루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주제를 다루고자 함. - 실리콘, 포토리지스트 등 주요 소재의 이해 - 포토리소그래피 이론 - 마이크로/나노 구조물의 제작공정 이해 - 포토리소그래피 및 PDMS 전사 등을 활용한 공정 실습 (실습은 강의환경에 따라 가변적임) - 현미경, 전자주사현미경, 접촉각 측정 등을 통한 공정 결과물의 평가 이론 및 실기 (실기는 강의환경에 따라 가변적임) - 패키징 공정의 이해 및 기초 - 첨단 패키징 공정을 위한 유변학 기초 - 미세유체 칩 설계를 위한 유체역학 I - 미세유체 칩 설계를 위한 유체역학 II - 미세유체 칩 제작을 위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 공정
기초고체물리Elementary Physics of Solid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기초고체물리Elementary Physics of Solid

강의개요

강의목표

  • This course will discuss reciprocal lattice formulation, electronic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semiconductor behavior. Other physical properties and phenomena observed in nanostructures will be examined in this course. Elementary quantum mechanics will be used to understand material properties.
나노메카트로닉스 기초와 개론Introduction and Basic of Nanomechatron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나노메카트로닉스 기초와 개론Introduction and Basic of Nanomechatron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의에서는 나노전자소자, 나노센서, Flexible display, 의료용 소자 및 기능성 에너지소자 등과 같은 기능성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나노메카트로닉스 기술과 관련하여 다양한 패터닝 리소그래피기술 및 기반기술 등에 대해서 강의함. 강의범위는 다음과 같음;- 나노패터닝 리소그래피 공정 및 시스템- Nano-biological-medical applications- 나노 기반 에너지 저장 소자 및 소재- 레이저 광화학적 반응 원리와 응용-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 및 응용 - 플라스틱 나노마이크로 유로 소자 제조 등
나노박막공학Nano Thin Film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나노박막공학Nano Thin Film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 강의는 나노박막 형성을 위한 진공 박막 증착을 이용한 코팅 공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최신 진공 코팅 장비기술을 파악한다./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understand the vacuum coating process for nanoscale thin film growth and to provide information of recently developed vacuum coating system
나노패터닝 공학 및 소재 응용Nanopatterning Lithography and Material Application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나노패터닝 공학 및 소재 응용Nanopatterning Lithography and Material Application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의에서는 나노임프린트리소그래피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나노패터닝기술을 소개하고, 나노 패턴 제작 공정에 대한 지식 습득 및 소자 응용에 대해 중점적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패터닝 및 표면 처리 소재의 특성을 소개하고 이형 및 접착력 향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대기오염제어공학Air Pollution Control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대기오염제어공학Air Pollution Control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좌의 목적은 수강생들이 내연기관, 화력발전소, 제철, 화학, 반도체 제조 등 각종 산업에서 배출되는 가스 내 (초)미세먼지 등과 같은 입자상 오염물질과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휘발성 유기물 등 가스상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기술에 대한 기초 배경지식을 배양할 뿐만 아니라, 측정, 설계, 운전 등과 같은 응용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임. 특히, 본 강의를 통해서 (초)미세먼지 관련 다양한 이론을 습득할 수 있고, 대표적인 산업 배기가스 정화 기술인 선택적 환원 촉매 (NOx), 전기집진 (미세먼지), 필터 (미세먼지), 습식 스크러버 (수용성 가스) 등의 실질적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이론을 학습하여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초)미세먼지에 대한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음.
레이저 장비 및 공정Laser Processing Machine and Laser Proces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레이저 장비 및 공정Laser Processing Machine and Laser Proces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레이저 장비의 기본 지식 (광원, 광학계, 제어, 모니터링 등)을 습득하고, 다양한 공정 (용접, 절단, 드릴링 등) 중 레이저와 재료의 상호작용에 대해 공부함으로써, 레이저를 응용한 장비를 운용 및 개발하는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봇공학응용 및 특론Robot Systems and Application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로봇공학응용 및 특론Robot Systems and Application

강의개요

강의목표

  • 로봇의 타입별, 적용분야별로 실제 개발된 로봇들의 사례를 살펴보고, 로봇 공학을 바탕으로 한 이론적인 내용과 응용 기술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됨. 다양한 산업용 로봇 분야에 활용되는 기술과 응용 사례를 분석하고, 협동 로봇, 양팔 로봇, 병렬 로봇, 조립 공정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함.
반도체 제조를 위한 플라즈마공학 개론Introduction to Plasma Engineering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반도체 제조를 위한 플라즈마공학 개론Introduction to Plasma Engineering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좌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의 핵심 공정인 플라즈마 기술에 대해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플라즈마 소스에 대한 특성을 플라즈마 물리 및 화학 현상과 함께 이해하고,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요한 플라즈마 공정을 학습한다.
발전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Engineering Technologies of Power Generation System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발전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Engineering Technologies of Power Generation System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좌는 발전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론 및 해석방법을 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석탄발전, 열병합발전, 가스터빈, 연료전지, S-CO2, CCS 기술 등의 시스템을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신뢰성공학 개론Introduction to Reliability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신뢰성공학 개론Introduction to Reliability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의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제조업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날로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신뢰성공학(Reliability Engineering) 에 대하여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정성적/정량적 신뢰성평가기법을 활용하여 기계류부품 및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시험 설계와 평가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며, 주요 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확률 및 통계 이론의 기초- 정석적 및 정량적 신뢰성분석 기법(FMEA/FTA)- 수명시험평가와 고장데이터 분석, 신뢰성 시험계획- 기계부품의 수명계산 및 보전과 신뢰성, 가속수명시험 설계
에어로졸입자공학Aerosol and Particle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에어로졸입자공학Aerosol and Particle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기상 중 나노분말의 생성 및 성장 메커니즘에 관하여 이해
연료전지시스템설계공학Design and System Engineering of Fuel Cell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연료전지시스템설계공학Design and System Engineering of Fuel Cell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목은 수강생으로 하여금 청정발전기술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에 대한 기본지식과 시스템 엔지니어링기술을 갖추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다양한 연료전지 중에서 분산발전용으로 각광받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열역학, 전기화학, 셀/스택 제작, 공정해석 및 설계, BOP 등에 대한 기본개념, 기술동향을 제공하고 시스템 공정설계 실습을 수행하게 된다.
연소공학특론Advanced Combustion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연소공학특론Advanced Combustion

강의개요

강의목표

  • 연료와 산화제를 반응시켜 열과 빛을 발생하는 연소현상을 물리화학적으로 분석하고 고체, 액체, 기체 연료의 연소현상을 이해하며 연소이론을 연소기기에 응용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함. / This course handles microscopic combustion phenomena considering chemical reaction between solid, liquid & gas fuels and oxidizers and introduces how to apply combustion theory to combustion devices
열 및 물질수지개론Basic Calculation of Heat and Mass Balance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열 및 물질수지개론Basic Calculation of Heat and Mass Balance

강의개요

강의목표

  • 연소, 건조 등의 물리화학적 처리설비의 기본설계 계산에 관한 공학기초 지식
융합기계시스템 개론Introduction to Mechanical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융합기계시스템 개론Introduction to Mechanical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의에서는 UST KIMM School의 3개 세부전공인 나노메카트로닉스, 로봇·제조장비, 친환경·에너지 기계에 관련된 KIMM School 소속 연구실들의 연구 현황, 관련 분야 기술 동향 및 응용 사례를 중심으로 강의한다. 이를 통하여 수강생들에게 융합기계시스템 전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분야 간 융합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을 배양하는 것이 본 강의의 주요 목표이다. - 나노메카트로닉스 관련 KIMM School의 주요 연구 현황, 관련 분야 기술 동향 및 응용 사례 - 로봇·제조장비 관련 KIMM School의 주요 연구 현황, 관련 분야 기술 동향 및 응용 사례 - 친환경·에너지 기계 관련 KIMM School의 주요 연구 현황, 관련 분야 기술 동향 및 응용 사례
응용열유체역학Applied Thermo-Fluid Dynam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응용열유체역학Applied Thermo-Fluid Dynam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목은 환경 및 에너지 시스템 연구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의 기초이론과 응용 기술에 대한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의 광범위한 내용을 전부 다룰 수 없기 때문에 환경 및 에너지 시스템 분야에서 반드시 필요한 내용만을 엄선하여 한 과목으로 엮어서 핵심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의 핵심 기초이론을 주된 내용으로 구성하고 실제 연구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응용 기술에 대한 소개도 포함하여 실제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인쇄전자 개론Introduction to Printed Electron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인쇄전자 개론Introduction to Printed Electron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의는 인쇄 전자제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인쇄 장비를 설계 및 제작하는 정밀 장비 제작 기초 이론과 잉크 소재가 적용된 인쇄전자의 기본 기법을 소개한다.
일반재료과학Fundamentals of Materials Science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일반재료과학Fundamentals of Materials Science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수업에서는, 기초적인 재료과학 주제들을 다룬다. 원자 모델, 주기율표, 결정학, 상변태, 열처리, 확산, 결함 등과 같은 기본적인 내용과 함께 금속, 세라믹, 고분자, 탄소 소재, 복합소재 관련 포괄적인 내용을 다룬다.
전기화학 및 전기열 에너지 공학Electrochemical and electrothermal process for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전기화학 및 전기열 에너지 공학Electrochemical and electrothermal process for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강의개요

강의목표

  • 전기화학 및 전기열 메카니즘을 기본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열전등의 원리, 소재/소자 제작, 측정평가 등 전반적인 내용을 습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밀 제조시스템 개론Introduction to Precision Manufacturing System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정밀 제조시스템 개론Introduction to Precision Manufacturing System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목은 정밀 제조장비 및 시스템(첨단 공작기계, 3D 프린팅 장비, 반도체 공정장비 등)의 개념 설계 및 응용 (시뮬레이션, 계측 및 보정, 제어, 모니터링, 지능화 기술 등)에 대한 기초이론과 현장 중심의 적용 사례 학습을 통해 해당 분야 전문가로서의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Advanced Semiconductor Packaging Process and Equipment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Advanced Semiconductor Packaging Process and Equipment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목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의 전반적인 기술 소개와 패키징 공정/장비 기술의 동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일부 주요 패키징 공정에 대한 원리, 핵심 요소기술 및 적용 장비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심화학습을 수행한다.
표면 및 계면공학 특론Surface and Interface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표면 및 계면공학 특론Surface and Interface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수업에서는 대학원 학생들의 나노, 마이크로 공정 및 시스템의 연구에 필요한 표면과 계면에 대한 이론 및 응용을 다룸.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교무팀 담당자 : 윤소정 연락처 :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