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학점 이수구분(강의방법) 과목개요
고분자재료화학Polymeric Materials Chemist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고분자재료화학Polymeric Materials Chemist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의는 고분자화학, 고분자물리, 복합재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강의에서는 단계중합, 자유 라디칼, 이온, 유화반응, 개환반응 등을 포함한 고분자 및 복합재료의 합성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또한, 분자량, 상변화, 미세구조 등 고분자 및 복합소재의 기본적인 물성에 대해 이해하고,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응용 분야와 연계하여 고분자 및 복합소재의 다양한 분석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고체화학Solid State Chemist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고체화학Solid State Chemist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 강의에서는 화학의 관점에서 고체 물질의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체 물질의 정의를 습득하고, 고체 물질의 다양한 합성법 및 분석 방법을 소개 한다. 또한, 고체 물질의 전자 구조 이해를 바탕으로 금속 및 반도체 물질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들을 습득하고, 촉매 및 전기 화학에 응용되는 예를 살펴본다.
공정 설계 및 경제성 최적화 Process Design and Optimization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공정 설계 및 경제성 최적화 Process Design and Optimization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 강의에서는 화학공정설계에 필요한 수치해석, 공정 합성, 최적화 방법론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틸렌 글리콜 공정 설계 및 경제성 분석, 최적화를 실습해 보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하여 기/액 평형을 모사하는 열역학 상태 방정식, 균일계/불균일계 촉매를 사용한는 반응기 모델링, 공비가 존재하는 분리공정 모델링을 이해하고 공정 구조 및 운전 조건 변화에 따은 경제성 변화를 정량화하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수리 최적화를 통하여 공정 경제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공학생물학Engineering Bi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공학생물학Engineering Bi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목은 생명과학에 공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에너지·환경 분야에 적용되는 합성생물학기술의 응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공학생물학이 적용되는 효소,미생물 및 바이오센서 공학에 대한 기본 개념을 살펴보고, 공학생물학이 에너지·환경문제해결을 위해 적용되는 응용분야에 대해서 강의한다.
바이오매스 재료 및 바이오리파이너리Biomass Materials and Biorefine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바이오매스 재료 및 바이오리파이너리Biomass Materials and Biorefine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바이오리파이너리는 바이오매스부터 여러 종류의 바이오연료, 화학물질 및 재생가능한 고분자 물질을 생산하는 공정을 일컫는다. 이 강의에서는 바이오리파이너리의 주 재료 물질인 바이오매스를 이해하고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논의한다.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바이오매스의 생물학적, 화학적, 열화학 처리 공정과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다양한 생산 물질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분자생물공학Biomolecular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분자생물공학Biomolecular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목의 목적은 생물 분자의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환경과 에너지관련 연구에 생물 분자를 응용, 활용하고 다루는 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강의에서는 생물분자인 DNA, 항체, 효소등의 정의 및 활용 방법을 소개하고, 이들 분자를 분석하고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 등을 다룬다.
에너지 환경연구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응용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for Energy-Environment Research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에너지 환경연구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응용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for Energy-Environment Research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인공지능 기술의 기본 작동방식을 이해하고 이를 에너지-환경 연구에 접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본 강의의 목표로 한다. 먼저 데이터 특성에 따른 적용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을 살펴보고 몇가지 기술분야의 적용 예시를 학습한다. 또한, first principle 등 이론적 계산기법을 동시에 학습하여 각 기술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에너지-환경 연구에 응용한다.
에너지-환경융합개론Introduction to Energy and Environment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에너지-환경융합개론Introduction to Energy and Environment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목은 최근 이슈가 되는 에너지와 환경 관련 연구 동향을 초청 세미나를 통해 다양하게 소개하고, 다양한 에너지, 환경 이슈들을 학생들이 자각하도록 하여 에너지/환경 연구 활동에 도움이되도록 한다.
에너지변환시스템기계부품의 성능 및 소재신뢰성평가Assessment of Performance and Material Reliability for Mechanical Components of Energy Conversion System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에너지변환시스템기계부품의 성능 및 소재신뢰성평가Assessment of Performance and Material Reliability for Mechanical Components of Energy Conversion System

강의개요

강의목표

  • 에너지변환 기계시스템은 다양한 부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동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에너지 기계 부품의 트러블은 전체 시스템의 고장이나 파단과 직결되므로, 평소 모니터링 및 진단을 통한 관리와 더 나아가 수명을 예측하고 이를 기초로 교체 주기 방안을 수립하여 큰 손실을 입지 않도록 예방하여야 한다. 본 강의에서는 에너지변환 기기의 대표적인 부품 요소에 대한 성능 평가 기술 및 소재 파손의 주요 원인인 크리프, 피로 파괴, 마모 등의 원인을 학문적 견지에서 바라보며 이를 근거로 기계 부품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을 결정하며 내구 수명 평가 방법 등을 공부한다.
에너지저장 및 변환용나노소재Nano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 Conversion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에너지저장 및 변환용나노소재Nano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 Conversion

강의개요

강의목표

  • 나노 크기의 소재 합성을 위한 다양한 합성 방법과 그 합성 원리를 이해하고, 소재의 크기가 벌크에서 나노화가 됨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물성의 변화에 대해 습득한다. 또한 나노 크기 소재가 사용되는 에너지저장 및 변환 분야를 알아보고, 벌크소재 대비 나노소재 적용을 통해 발생하는 장·단점을 이해하며, 상기 에너지저장 및 변환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물성 제어법을 다룬다.
이차전지 시스템Materials and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이차전지 시스템Materials and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차전지 시스템별 반응 원리 및 이의 핵심 소재에 대한 이해
재료과학개론Introduction to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재료과학개론Introduction to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 강의에서는 소재 설계에 있어서 사용되는 금속, 세라믹, 폴리머, 복합체 소재 등에 대한기본 물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결정학적 기초지식 습득을 통해 구조와 소재의 물성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소재들에 대한 기본 지식를 탐구하며, 전산 재료과학을 통해 에너지 소재를 설계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신규 에너지소재를 발굴하는데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다양한 배경 지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전기화학개론Fundamentals of Electrochemist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전기화학개론Fundamentals of Electrochemist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 강의에서는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 및 주요 응용 기술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기화학의 열역학, 동역학, 전기화학셀 등의 개념과 각종 전기화학 분석법을 학습한다. 또한, 연료전지, 수전해, 이차전지 등 주요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장치의 전기화학적 이해와 이를 기반으로 한 소재/소자/시스템 연구 응용을 논의한다. (한국어 강의는 1학기에 편성)
전기화학에너지소재개론Introduction to Electrochemical Energy Material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전기화학에너지소재개론Introduction to Electrochemical Energy Materials

강의개요

강의목표

  • 에너지와 환경 관련 다양한 연구에서 나노 및 고분자 소재등이 밀접하게 연관된다. 본 교과목에서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변환과정에서 적용되는 주요 소재 및 현상 관련 기초지식 학습함을 목적으로 한다.
콜로이드와 계면화학Colloid and Interfacial Chemistr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콜로이드와 계면화학Colloid and Interfacial Chemistr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에너지와 환경 관련 다양한 연구에서 콜로이드 및 계면 현상이 밀접하게 연관된다. 본 교과목에서 콜로이드와 계면 현상 관련 기초지식 학습함을 목적으로 한다.
토양지하수환경공학Soil & Groundwater Environmental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토양지하수환경공학Soil & Groundwater Environmental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지중환경에 대한 물리적, 생지화학적 이해, 포화대 및 불포화대에서 물의 흐름 및 오염물질의 거동 해석, 오염부지에 대한 위해성 평가기술 소개.
하폐수처리공학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하폐수처리공학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해당 강의에서는 생활하수 및 폐수 처리와 관련된 다양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방법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 및 설계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최근 연구 및 기술개발 동향을 소개함으로써 하·폐수 처리기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더불어 실제로 현장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화학촉매기초Fundamentals of Chemical Catalysi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화학촉매기초Fundamentals of Chemical Catalysis

강의개요

강의목표

  • 균일계 및 불균일계 촉매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소개한다. 촉매 설계 기초, 반응속도론,촉매 분석법 등을 살펴보고, 균일계 및 불균일계 촉매의 반응 경로 해석에 대해 학습한다.
화학촉매응용Applications of Chemical Catalysi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화학촉매응용Applications of Chemical Catalysis

강의개요

강의목표

  • 화학촉매기초를 이수한 학생들에게 추천한다. 균일계 및 불균일계 촉매를 활용한 실제 활용사례, 열 및 물질 전달을 포함한 촉매 반응의 해석 방법, 촉매 제조법 등을 살펴보고, 실제실험실 및 스케일업 공정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들을 해석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환경 분리막 공학Environmental Membrane Techn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환경 분리막 공학Environmental Membrane Techn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 강의에서는 수처리 공정에 적용될 수 있는 분리막 기반 기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리막의 제막, 표면 개질, 분리막 모듈 및 시스템화, 정수, 하수, 담수화 등 다양한 공정 적용, 막오염, 미생물 분석 방법을 소개 한다. 또한, 수처리 공정에 실제 적용되든 분리막 기술들의 상세 예시를 바탕으로 현장 적용 및 설계 방법을 제안할 예정이다.
환경 수처리 재료 개론Introduction to Advanced Materials for Water Treatment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환경 수처리 재료 개론Introduction to Advanced Materials for Water Treatment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과목은 환경 수처리 공정에서 활용되는 유/무기 소재의 구조 및 특성의 기본적 이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펜톤, (광)촉매, 고도산화, 흡착 공법의 원리와 최신 연구 동향을 다룬다.
환경생물물리학 및 생체에너지학Environmental Biophysics and Bioenergetics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환경생물물리학 및 생체에너지학Environmental Biophysics and Bioenergetics

강의개요

강의목표

  • 본 강좌는 환경생물물리학과 생체에너지학의 두 분야를 아우르는 입문 수준의 과목으로서모든 이공계 전공의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우선 환경생물물리학 파트에서는 유기체의열역학 및 전달현상을 기반으로 세포, 조직, 개체, 그리고 생체계에 대한 물리적 환경인자의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고찰한다. 다음으로 생체에너지학 파트에서는 세포 수준의 미시적에너지 변환으로부터 생태계의 거시적 에너지 흐름까지 폭넓은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환경생태독성학Environmental Toxicology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환경생태독성학Environmental Toxicology

강의개요

강의목표

  • 환경 생태 독성학은 다양한 biomarker를 이용하여, 환경에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영향(독성)을 규명하고 OECD 시험종의 영향(독성)기전을 해명하는 연구 분야이다.
환경에너지재료공학Environmental Energy Materials Engineering 3 전공강좌(단독강의) -
교과목명(국/영문)

환경에너지재료공학Environmental Energy Materials Engineering

강의개요

강의목표

  • 이 강의는 탄소 에너지원에서부터 재생 에너지까지의 전과정평가를 바탕으로, 에너지 소비와그로 인한 환경 파급효과 및 생태 영향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강의 내용은 화석연료와 재생에너지의 생성 과정의 기본 이론과 소재들을 학습하며, 에너지 소비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생성, 분포, 이동, 변환 과정으로 인한 환경 파급효과와 생태 영향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교무팀 담당자 : 윤소정 연락처 : 이메일 :